면담은 사회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 방법이다. 전통적으로 면담은
피면담자가 자신의 경험을 면담자에게 단순하게 전달하는 하나의 통로
로 여긴다. 이는 피면담자를 경험적 지식의 저장소로 간주하고 이들의
경험적 지식을 오염시키지 않고 중립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에
서 비롯된다. 그리하여 면담자는 면담을 통해 나타나는 의미가 “무엇”인가,
즉 정보에 주로 초점을 맞추면서 면담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면담을 통해 나타나는 의미가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그 의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과정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실상 면담이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에서는 개인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말하고자 하는 그 생각 조차도 변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 중립적인 상황이란 없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도 모든 면담은 사실을 구성하고 의미를 만드는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인 “적극 면담”의 “적극”은 바로 이렇게 면담자와 피면담자가
반드시 그리고 불가피하게 적극성을 띠면서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이 책은 면담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역동적
이고 의사소통적인 상황 속에서 면담 자료가 어떻게 생산되고 해석되는
지를 다각적이고 다층적인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독자들의
이해를 한층 더 높이고 있다.
본 역자들은 “적극 면담”의 번역을 통하여 면담자가 어떻게 피면담자
들을 활성화시켜서 복잡하게 얽힌 그들의 경험을 이야기로 엮어가도록
안내하는지에 대한 멋진 무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역자들의 다양한
면담 경험이 이 책을 번역하는데 그 무엇보다도 든든한 토대와 자양분이
되었다. 하지만 역자의 의역이 부득이하게 추가된 점을 고백한다.
이 책은 면담을 이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모든 연구자
와 학생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리라 기대한다. 이 책의 출간을 위해
아낌 없는 지원을 해 주신 수문사 박세원 대표와 직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보낸다.
l 차례
Chapter 1 서론
Chapter 2 적극 면담의 관점
피면담자 이면의 상상화된 주체
설문 조사 면담
창의적인 면담
적극면담
해석 행위로서의 적극 면담
Chapter 3 부여된 역량과 피면담자 선정
사회 조사에서 부여된 역량
적극적인 피면담자 선정을 위한 지침
경험의 내레이터
Chapter 4 내러티브의 구성 자원
축적된 지식의 구축
입장 전환과 자원의 활성화
Chapter 5 적극 면담자
내러티브 생산의 활성화
자극과 내러티브의 선례
이야기의 조건화
배경 지식의 활용
내러티브 안내와 제한
Chapter 6 면담 내에서의 의미 구축
면담 형식과 의미 생성의 가시화
고유 코딩
의미의 지평
협동적 구성
Chapter 7 다양한 목소리와 다수의 피면담자
배우자 포함
집단 면담
Chapter 8 면담 절차에 대한 재고
주제 선정
표본 선정
적극 면담
자료 수집
분석과 발표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명예교수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