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저서가 집필된 네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본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학습성과 중 간호관리학 교과목에서 반영하여 적용·학습할 수 있는 부분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전국의 간호학 교수와 TF 팀의 협업으로 대폭 수정·보완하여 2015년에 개정된 간호학 학습목표 중 간호관리학 교과목의 학습목표 분류체계 틀울 참조하여 집필하였습니다.
둘째, 2 015년에 개정된 간호관리학 학습목표 분류체계의 변화는 2012년 개정 시의 14개 대분류를 11개로 재분류하였습니다. 본 저서에서 다룬 내용은 대분류4 중 법적의무와 대분류5 ‘간호관리의 이해’, 대분류6 ‘기획’, 대분류7 ‘조직’, 대분류8 ‘인적자원 관리’, 대분류9 ‘지휘’, 대분류10 ‘통제’ 및 대분류11 ‘간호단위관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판에 관한 현장의 의견을 참조하여 간호학개론에 기술되었던 간호관리의 법적 측면은 본 서의 Part 3 제9장에 기술하였습니다.
셋째, 도입부에서는 간호관리의 이해를 위한 관련 개념을 기술하였으며, 관리과정과 간호적용에서는 기획과 조직, 인사, 지휘, 통제관련 개념 이해와 각 과정의 간호단위 실무현장 적용사례를 통하여 간호관리업무와 간호술기업무가 상호 연결되어 있고 통합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습니다.
넷째, 전반적인 사회·인구학적 구조의 변화와 질적 간호 향상을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확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본 서의 Part 3 제8장 7절에 신설 내용을 기술하였습니다.
차례
PART 1 관리의 이해
제1장 간호관리의 이해
1절 간호관리의 개념과 체계 모형
2절 간호관리 역량
제2장 관리이론
1절 관리이론의 발달
2절 간호관리 관련 이론
PART 2 관리과정과 간호적용
제3장 기획과 간호적용
1절 기획의 이해
2절 기획과 의사결정
3절 예산과 의료비 지불제도
4절 간호서비스 마케팅
제4장 조직과 간호적용
1절 조직의 이해
2절 조직화와 조직구조
3절 직무관리
4절 간호전달체계
5절 조직문화와 조직변화
제5장 인사와 간호적용
1절 인적자원 관리의 이해
2절 확보관리
3절 개발관리
4절 보상·유지관리
제6장 지휘와 간호적용
1절 지휘의 이해
2절 리더십
3절 동기부여
4절 의사소통과 주장행동
5절 조정과 협력
6절 갈등 및 직무스트레스 관리
제7장 통제와 간호적용
1절 통제의 이해
2절 의료의 질 관리
3절 간호의 질 관리
4절 의료기관인증
5절 간호교육인증
6절 환자안전
PART 3 간호관리의 실제
제8장 간호단위관리
1절 간호단위관리의 이해
2절 간호단위의 환자관리
3절 안전관리
4절 물품·약품관리
5절 환경·감염관리
6절 간호정보·기록관리
7절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관리
제9장 간호관리의 법적 측면
1절 대상자와 간호사의 법적 권리
2절 간호사의 법적 의무
3절 간호사의 법적 책임
신미자 안산대학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