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과 건강증진』이 첫 출간된 1996년 이후 21년이 지나면서 4번째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처음 출간될 때만 해도 국내에서는 역학을 건강증진과 연결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국민건강목표를 2002년 처음 발표한 이래, 매 10년마다 달성할 목표를 발표하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2020년에 달성할 국민건강목표를 향해 건강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 목표들 중 상당부분은 건강생활실천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관련 목표들로 구성되면서 건강증진은 국내 건강관리체계에서도 중요한 건강관리로 제공되고 있다.
역학은 그 정의가 말해주듯이 그 시대에 만연하는 건강문제의 분포를 기술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건강문제의 예방 및 관리방법을 제시하는 학문이므로, 감염병과 만성병은 물론 최근 부각되고 있는 건강증진관리에서도 매우 중요한 학문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개정판에서도 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역학개론과 역학의 중요한 세 영역인 감염병역학, 만성병역학, 건강증진역학을 포함하는 기본 틀은 유지하였으나, 각 영역에서 최신 정보들을 수정 보완하였다. 전염병역학은 감염병역학으로 수정하면서 변화된 최신 감염병 정보들을 삽입하였고, 건강증진역학에서는 WHO의 7차에 걸친 건강증진회의 관련 정보 및 통계청과 국민건강영양조사로부터 나온 최신 통계들과 건강행위예측모델들을 보완하였다.
『역학과 건강증진』에는 건강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역학관리에 대한 내용은 물론, 감염병과 만성병 역학관리, 국내외의 국가건강목표와 건강행위 통계들, 그리고 구체적인 건강증진전략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이 건강 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학부와 대학원 학생들의 교육에, 또한 일선에서 수고하는 보건인력들의 보건사업실천에 보탬이 되는 실질적인 참고서가 되기를 희망한다.
| 차례
PART 1 역학 개론
PART 2 감염병 역학
PART 3 만성병 역학
PART 4 건강증진 역학
이정열 연세대학교 외